통계청은 6일
이런 내용을 담은 `2018년
사회조사`
결과를
발표했다.
해당
조사는 지난 5~6월
전국 2만5843개의
표본가구
내 상주하는 만 13세
이상 가구원
약 3만9000명을
대상으로 진행됐다.
우리나라 13세 이상 국민 중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48.1%로 올해 처음 50% 이하로 떨어졌다.
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2010년 64.7%에서 2012년 62.7%, 2014년 56.8%, 2016년 51.9%로 하락하다가 급기야 이번에 50% 아래로 떨어졌다.
뿐만 아니라 남녀가 결혼하지 않아도 함께 살 수 있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56.4%로 처음으로 절반을 넘어섰다.
이것은 우리나라 13세 이상 국민의 절반 이상이 `결혼은 선택`이라고 생각한다는 것이다.
결혼을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46.6%, 하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3.0%였다.
성별로 보면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남성(52.8%)이 여성(43.5%)보다 높았다.
결혼에
대한 반대 의견은 남성(2.2%)에
비해 여성(3.8%)이
더 많았다.
결혼을
하면 자녀를 가져야 한다는 응답은 69.6%로
집계됐으며,
남성(72.6%)이
여성(66.6%)보다
높은 비율을 보였다.
결혼을
하면 자녀를 가져야 한다는 응답은 69.6%로
집계됐으며,
남성(72.6%)이
여성(66.6%)보다
높은 비율을 보였다.
한편
결혼하지 않더라도 동거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56.4%로,
조사
시작 후 처음으로 50%를
넘어섰다.
한편 결혼하지 않더라도 동거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56.4%로, 조사 시작 후 처음으로 50%를 넘어섰다.
결혼을
하지 않더라도 함께 살 수 있다는 비율은 2010년
40.5%에서
2012년
45.9%,
2014년
46.6%,
2016년
48.0%로
꾸준히 증가했다.
결혼하지
않고도 자녀를 가질 수 있다는 생각에는 30.3%가
동의했다.
결혼식
문화에 대해서는 70.6%가
과도한 편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.
자녀와
함께 사는 부모의 비율은 27.1%로
2008년(38.0%)에
비해 10.9%포인트(P)
줄어들었다.
가사는
공평하게 분담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올해 59.1%로
2008년
32.4%에
비해 2배
가까이로 증가했다.
가사를 부인이 주도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2008년 66.5%에서 올해 38.4%로 낮아졌다.
자녀의
학원비 부담을 가장 많이 느끼는 연령대는 30대인
것으로 조사됐다.
소득에
비춰볼 때 자녀교육비가 부담된다고 응답한 가구주의 비율은 64.4%로,
2016년
조사 때보다 0.9%P
낮아졌다.
교육비
부담을 느끼는 요인으로 학원비 등 보충 교육비(이하
학원비)를
선택한 비율이 65.2%로
가장 높았다.
학원비를
꼽은 비율을 연령대별로 보면 30대가
92.1%로
가장 높았고 40대가
77.5%,
50대
38.7%,
60세
이상이 19.2%였다.
대학생은
반 이상이 등록금을 부모 등 가족에게 의존하고 있고 그 비율은 2년
전보다 높아졌다.
2018년
1학기
대학생 등록금 마련 방법을 물은 결과 59.7%가
부모(가족)의
도움을 받았다고 답했다. 이는
2년
전 조사 때보다 1.7%P
올랐다.
장학금으로
등록금을 대신했다고 답한 비율은 25.0%,
대출로
등록금을 해결한다고 답한 이들은 9.0%,
스스로
마련한다는 응답은 6.0%였다.
최근 2년
사이에 흡연율과
음주율이
전반적으로는 하락했으나 성별로는 각기 다른 방향으로 변화한 것으로 조사됐다.
2018년
19세
이상 인구 중 담배를 피우는 이들의 비율은 20.3%로
2년
전(20.8%)보다
0.5%P
낮아졌다.
성별로
구분하면 남성 흡연자 비율은 37.7%로
2년
전보다 1.4%P
하락한
반면,
여성
흡연자의 비율은 3.5%로
0.4%P
상승했다.
2018년
기준 지난 1년
동안 술을 한 잔 이상 마신 이들은 비율은 65.2%로
2년
전(65.4%)보다
0.2%P
하락했다.
술은
마신 이들의 비율은 남성이 77.4%,
여성이
53.4%였다.
2년
전과 비교하면 술은 마신 이들의 비율이 남성은 1.6%P
하락했고
여성은 1.1%P
상승했다.
올해
13세
이상 인구 중 전반적인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답한 이들의 비율은 54.4%로
2년
전보다 0.3%P
하락했다.
스트레스를
느끼는 부문으로는 직장생활이 71.8%로
가장 빈번하게 꼽혔다.
이어
학교생활(49.6%),
가정생활(40.8%)
순이었다.
정기
건강검진을 받는 이들의 비율은 80.4%,
적정
수면을 취하는 이들은 77.5%,
아침
식사를 하는 이들은 67.3%,
규칙적
운동을 하는 이들은 38.3%였다.
이
가운데 정기 건강검진,
적정
수면,
규칙적
운동,
아침식사를
하는 이들의 비율은 2년
전보다 각각 19.7%P,
0.3%P,
0.3%P,
0.1%P
상승했다.
■국민 36.4% "5년 전보다 환경 상황 악화"
13세 이상 국민 중 환경 상황이 5년 전보다 나빠졌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36.4%로 좋아졌다(25.4%)는 답보다 높았다. 특히 대기에 대해서는 나쁘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36.0%로 좋다(28.6%)보다 많았다.
전반적인 환경문제 중에는 미세먼지에 대해 불안하다고 느끼는 비율이 82.5%로 가장 높았다. 이어 방사능(54.9%), 유해 화학물질(53.5%)에 대해서도 불안함을 느끼는 비율이 높았다.
우리 사회가 전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은 20.5%로 2년 전(13.5%)보다 7.3%P 증가했다. 우리 사회가 5년 전보다 안전해졌다고 생각하는 비율도 27.7%로 2년 전(12.0%)보다 15.7%P 늘었다.
'Pastoral letter > 뉴스읽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소비자물가 상승률의 두 얼굴: 올라가는 물가와 느리게 움직이는 경제 (0) | 2023.09.06 |
---|---|
하루 중 신앙 생활 시간 절반이상이 하지 않거나 5분이! (0) | 2021.06.25 |
과연 공정합니까? (0) | 2020.07.10 |
사역에 입문하려는 신학생들 위한 팀 켈러 목사의 4가지 조언 (0) | 2018.11.14 |
지금 대한민국은 몸이 아픈게 아니라 마음이 아픈거 같다 (0) | 2018.07.13 |
댓글